발리AI영화제 공식 선정작 'The Secret Behind K-Gimbap' 포스터. (사진제공=한동대)
[비욘드포스트 이봉진 기자] 한동대학교(총장 최도성)가 미네르바대학과의 혁신적 교육 협력을 통해 국제 AI 영화제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글로컬대학 30에 선정된 이후 빠르게 추진해 온 교육 혁신이 결실을 맺은 결과로 평가된다.
한동대는 미네르바 프로젝트와 공동으로 비판적 사고, 소통, 협업, 창의성 등 4C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과정을 운영 중이다. 올해 하반기에는 'AI 문화예술 프로젝트'와 '교육학개론' 등 신규 교과목을 새롭게 선보이며 교육의 폭을 넓혔다.
특히 'AI 문화예술 프로젝트' 수업은 인공지능 기술이 문화예술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학생들이 직접 다양한 AI 툴을 활용해 창작물을 제작하는 실습 중심으로 진행된다.
이 수업을 담당하는 심규진 교수는 윤성민(19학번, 커뮤니케이션학부), 이로운(22학번, 커뮤니케이션학부) 학생과 함께 'The Secret of behind K-Gimbap(한국 김밥의 비밀)'이라는 작품을 제작해 '발리AI영화제(AI FILM AWARDS BALI)'에 출품했다.
심 교수가 구성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두 학생이 다양한 AI 툴의 프롬프팅 기법을 활용해 영상을 완성한 이 작품은 발리AI영화제 공식 선정작에 이름을 올리는 쾌거를 이뤘다.
'발리AI영화제'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영상 콘텐츠를 평가하는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영화제로, 이번 선정은 AI로 제작한 콘텐츠가 예술적 완성도를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
심규진 교수는 "미네르바식 교육 방식을 적용하면서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며 "이번 성과를 발판 삼아 글로벌 AI 공모전에 계속 도전하며, 명실상부한 세계적 명문 글로컬대학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한동대는 이번 성과를 통해 혁신적 교육 모델이 실제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증명했으며, 앞으로도 학생 중심의 창의적 교육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